Youngjoo Kim creates 'conditions.' By her specific preset of choices in the act of making, the artist creates an abstract mode of communication that fosters a critical conversation between the completed image and creation and the efficacy of the latent state in a work.

"I have explored using archetypal materials inherent in painting to structure the plane, venturing beyond mere representation to construct unique images. My artwork does not simply narrate an image; it captures its physical position and the trajectory of its changes. It hints at a certain direction, stimulating the viewer's consciousness. It acts as a bridge between the present image and another discovery. I am searching for a new painterly language within these possibilities and, simultaneously, investigating the distinction between binary activities of 'seeing' and 'discovering' in the appreciation of the visual art."

The artist explores the unprecedented conditions to create paintings in pursuit of discovery.' What the artist meant by 'discovery' refers to the re-perception of the novel nature by abandoning general visual and cognitive understandings of the identical subject matter. For example, the color used in the artist's painting performs as a symbolic sign within the specific scope of its application rather than as a distinguished definition entitled by the language. Moreover, the nature of pigment that inevitably dissolved its materiality in the process of representation surfaces as the substances that are measured as the physical weight on the artist's canvas. By doing so, playing with the conventional means of painting such as stretcher, canvas, and pigment, the artist attempts to question a substantial aspect of representation and transform it into a new dimension.

In respect of the artist's practice, she states as follows, "I am skeptical of pursuing the new objectives in paintings through the reproduced images that are drawn. Instead, I focus on exploring the new form that considers the viewer's visual and cognitive understandings through the painting as a medium that embraces the interaction of the creator and viewer."

Through such practice, the artist Youngjoo Kim continues to find a valid position of contemporary painting potentially acquired in modern society prevalent with images.


Youngjoo Kim departs from the conventional approach to painting, breaking away from the traditional constraints and venturing into a new method of three-dimensional formation. Through a methodology that involves disrupting the flat canvas framework, creating paradoxical rules, or transforming blind conditions into inevitable states, she continuously experiments with creating new paintings. The artist gives physical intervention onto the canvas stretcher, such as dividing, rotation within the arc, and elimination to indicate directions and structural narrative. By layering linen onto this constructed canvas framework, the artist pulls and stretches it, embodying the kinetic energy of the pieces and expressing the implicit suggestions they create, guided by the directions of each frame. Utilizing paint, the artist leaves a clue of what the energy's direction implies, and this symbol and meaning point to the rules she has established. Within her artistic realm, audiences traverse between abstraction and representation, painting and sculpture, discerning Youngjoo Kim's multi-layered approaches towards creation and reveling in her ingenious structure. Creating rules and establishing a world where they operate becomes the essence of her artistic output.


Algorithm of banters 

Jiyeon Kim (Art Critic, Writer)

I appreciate unflattering banters. More specifically, although banters are ostensibly absurd, the underlying humor stems from subtle layers of times and relationships of the past. Despite the word holding the meaning of a dictionary definition, I am fond of the inside rule between us that draws a playful joke. It is an exhilarating form of laughter compared to a generic banter found humorous by the majority. A banter exchanged between old couples, friends, or acquaintances who share part of life is a commitment in which a form of language substitutes for the structure of communication intricately accumulated with relationships and circumstances. There once was banter in such a manner, although it had ended.

According to Roland Barthes, semiotics composed of common signifiants and signifiers, the fundamental symbol to reoccur signification, are referred to as the modern ‘myth’ that facilitates the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popular culture in society. It is simply about structure aside from capitalism and imperialism. When the signifiants and signifiers create multi-layered intersections over time, the symbol draws upon a distinct connotation within a cultural sphere. A banter formed with innumerable circumstances and contexts manifests a famous sign. Hence, the understanding of bilateral context, without elaboration on the profound idea, suggests the consolidation of intimacy by sublimating the weight and complexity of life in humor.

The literature 『Jokes and Shadows』, 2021 by Min-Yeong Kim, the author explains that the jokes “pull each other closer and push each other away.” Also, the author says, “The essence of jokes pertains to the distance. The distance between people, or the people and circumstances. It is the distance that prevents a wounded heart and facilitates an amicable relationship”.

Perhaps, for this reason, we perceive banter as a measure of understanding one’s values and ethics and befriending people with a sense of humor. As the level of intimacy grows more intense, the shape of banters becomes more complex. The sign of banter appears to be the key that opens the door to a relationship in an unprecedented direction. Moreover, it shapes up as a secret myth hovering beneath the surface of time or a medium that reminds us of a particular person and situation over time. As mentioned in the literature, a variety of distance adjustments is derived from “the light nature of banters that are dismissed as playful or fiddle-faddle.” What is light tends to shift quickly. Nonetheless, it does not signify shallowness.


Creating a plot 

A single canvas with four vertices is cut to form multiple vertices. The form of the lines found on the intersect of pieces connotes the original shape of the pieces, but it also serves as a lead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m of the lines moves. <Vertices>. The artist rotates the pieces and paints on varied shapes or keeps the original state. Individual areas with distinguished representation promote the assessment of the past and future of the trajectory. <Territory of Matters>. With the limited density of paint, the paint is either applied from the outer corner towards the inner surface or vice versa. The work is finally completed as the paint is used up. Although the weight of the paint is indicated in the work’s title, the uncommon use of the unit provokes an equivocal impression. <Weight Painting>

In the works of Youngjoo Kim, the canvas and paint are interpreted as suggested substances. It alludes to the original form, the kinetic energy of the pieces, and its temporality of state. The area pointed out by signifiants and signifiers is the rule established by the artist. The audiences oscillate between abstraction and figuration captured in the painting and sculpture in the artist's oeuvre following the witty structure of multifarious banters instilled in the works. The artist's work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an algorithm mechanism. Her work embodies creating a whole world that incorporates the algorithm mechanism as a condition.

The artist abandons the reproduced image of a complicated world, but she conveys a succinct structure and rule demonstrating the principles of mathematics of science to the audiences. It is the prototype of pure joy embraced by the artist that can also draw an analogy to the plot of a story. The prototype of all narratives in the world is derived from the structure of mythology. The audiences are encouraged to understand the rules or plots the artist suggests and embellish them with their creativity. Unlike the work that delivers a specific narrative, the artist's works evoke a particular structure to the audiences that becomes a medium to generate a different story based on individual signification.


A story appeared as being submerged.

Pieces of canvas merge to form a temporary form. The pieces retain the energy for action in a direction like tectonic plates. They also cooperate to maintain the current state. Although the pieces remain in their original shape, once cut, they cannot return to their initial state. Also, despite the directions of movement, the force of each piece determines the change of shapes. As if the banters don’t seem to be in sync by oblivious observers, the kinetic energy lingering on the surface and underneath contains distinctive narratives. However, several coincidences become weft and warp and conjure up inevitability, like the tentative state of foreign pieces, the light of space, and the direction of gaze. The present verifies the functionality of the algorithm of banters. 

As if the void of a building is a state unfilled by intention, the aperture between the canvas is seemingly empty. However, it is not merely an empty space. Submerged in the crevice of the valley along the circumferences, audiences are immersed in the artist’s algorithm. The same rules applies to everyone, but the senses and memories individually grow to form their catalyst toward incisive imagination. 

As the audience encounters the works to create the meanings, the energy explodes around the empty space, and the fragments of canvas begin to react. It is diastrophism. The surface before the eyes is shifted away, and the senses slide in as the past arises. The ecstasy flows from the lines onto the body. A private old banter embarks on the reaction. Through the artist’s algorithm, it is repented upon the present tense. It is the moment when this painting becomes the point at which ‘punctum’ occurred, and its concept verifies the implementation of the value in a realm outside photography. Various stories that emerge from a work settle with the audiences. Like a photograph that captures a fleeting moment, it focuses on the moment and you. 

As a flawless algorithm applies the most powerful freedom and vitality into the virtual world, the artist creates an elaborate structure to stimulate the senses and encourage audiences to unfold their stories. We are all variables. It is an inside joke shared with the artist who secretly yet intentionally proposes the idea. With the banter of various senses of humor, a story is added to deliver another banter. A responsive banter is similarly different. It is another way of expressing the wishful desire for understanding based on a set of rules. The pieces of canvas emerge as mutual text that opens the door to a new world. 

Amidst the connotation and denotation, the artist awaits the story to appear from within the aperture of spaces that gradually expand. The story began in the past, but it is the present and flows into the future. Don’t we all have an old banter carrying in our hearts?


(KR)

농담의 알고리즘 

김지연 (미술평론가, 작가)

  웃기지 않는 농담을 좋아한다. 정확히 말하자면 표면적으로 웃기는 말이 아니지만, 지난 시간과 관계가 만든 맥락이 겹겹이 더해진 틈에서 비어져 나오는 웃음, 누군가에겐 평범한 단어일지라도 우리 사이에선 농담이 되는 규칙을 좋아한다. 누구나 웃을 수 있는 농담보다 더 짜릿한 웃음의 형태다. 오랜 연인이나 친구 사이의 농담 혹은 한 시절을 깊이 공유한 사람들끼리만 가능한 농담은 관계와 상황이 복잡다단하게 쌓인 소통의 구조가 언어의 모양으로 치환된 일종의 약속이다. 오래전에 그런 농담을 가진 적이 있었다. 지금은 멈춰버렸지만.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기표와 기의가 만든 기호, 그 기호를 기표로 삼아 다시 일어나는 의미작용, 특정한 문화를 읽어낼 수 있는 그것을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 b.1915)는 현대의 ‘신화’라고 불렀다. 자본주의와 제국주의를 차치하고 지금 여기서 말하는 것은 단순히 구조에 관한 이야기다. 오랜 시간을 거쳐 기표와 기의가 다층적으로 교차할 때, 기호가 지시하는 것은 한 문화권 내에서 전혀 다른 의미를 암시 하기도 한다. 수없는 상황과 맥락이 쌓여 만들어진 농담의 겉모습도 우리 사이에서 통용되는 기호가 된다. 그리고 그 아래에는 우리 자세하게 얘기하지 않아도 서로의 맥락을 깊이 이해하지 않냐며, 삶의 무거움과 복잡성을 웃음으로 승화시키고 친밀감을 공고히 하자는 제안이 있다. 

  책 『농담과 그림자』(김민영, 2021)에서는 농담이 “서로를 가깝게 만들기도, 멀어지게 만들기도 한다.”며, “농담의 본질은 거리에 있다. 사람과 사람 사이, 혹은 사람과 상황 사이의 거리. 각자가 가진 마음의 모서리에서 서로 긁히거나 상처받지 않도록, 또는 조금 더 윤활한 관계가 이루어지도록 서로를 매끄럽게 매만지는 거리.”라고 했다. 

  우리가 농담을 한 사람의 가치관과 윤리의식을 가늠하는 척도로 인식하고, 또 그 코드가 잘 맞는 사람을 금세 좋아하는 건 이런 이유가 아닐까. 친밀함의 농도가 짙어지며 사적인 농담의 모양은 더욱 복잡해진다. 농담이라는 기호는 관계의 문을 다른 방향으로 여는 열쇠가 된다. 또한 긴 시간이 지난 뒤에도 어떤 사람과 상황을 떠올리게 하는 매개체 혹은 시간의 지층 아래 깔린 비밀스런 신화가 된다. 이 다양한 거리조절이 가능한 것은, 위 책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장난 또는 실없음으로 치부되는 농담의 가벼운 속성” 때문이다. 가벼운 것은 쉽게 움직인다. 그러나 깊이 없음과 같은 의미는 아니다. 


플롯을 만드는 일

  네 개의 꼭짓점을 가진 캔버스를 갈라 여러 개의 꼭짓점을 만든다. 조각들이 맞닿으며 만들어낸 선의 형태는 조각들의 원래 모양을 내포하는 동시에 움직일 방향을 가리키는 단서가 된다.(<Vertices - 지점들>) 작가는 조각들을 회전시키고 처음의 형태와 달라진 부분을 칠하거나 혹은 칠하지 않고 남겨두기도 한다. 다르게 표현된 영역을 통해 궤적의 과거와 미래를 가늠할 수 있다.(<Territory of Matters - 문제의 영역>) 한편 처음부터 안료의 질량을 제한 해놓고 캔버스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혹은 반대로 뿌려간다. 안료가 소진되면 완성이다. 작품의 제목에 안료의 무게가 정확히 표기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 쓰지 않는 단위로 인해 모호한 인상을 준다. (<Weight Painting - 무게회화>) 

  김영주 작가의 작품에서 캔버스와 물감은 그것들이 지시하는 물질 그 자체로 다루어진다. 그 안에는 처음 형태에 관한 단서, 조각들의 운동 에너지, 이들이 이루는 잠정적 상태라는 암시가 담겨 있다. 이 기표와 기의가 가리키는 곳은 작가가 구성한 규칙이다. 그의 작품 세계 안에서 추상과 구상, 회화와 조각 사이를 넘나들던 관객은 이내 작가의 다층적인 농담을 알아채고 그 재치 넘치는 구조를 즐기게 된다. 김영주 작가가 작업하는 방식은 일종의 알고리즘 조직에 가깝다. 조건을 창작하고 그것이 작용하는 하나의 세계를 만드는 일이다.

  작가는 복잡한 세상을 재현하는 이미지를 거두고 마치 수학이나 과학의 원리를 설명하듯이 간결한 구조와 규칙을 관객에게 건넨다. 작가가 발견해낸 순수한 기쁨의 원형이다. 이야기의 플롯에 비유할 수도 있겠다. 세상 모든 이야기의 원형은 신화의 구조에서 가져왔다고 하지 않나. 관객은 그가 던지는 규칙 혹은 플롯을 이해하고 자신의 감각을 더해본다. 관객에게 구체적 서사를 오롯이 전달하는 작품과 달리, 김영주 작가의 작품은 관객의 머릿속, 마음속에 구조를 만들어주고 각자의 의미작용을 거쳐 다른 이야기를 생성하도록 돕는 매개체가 된다. 


미끄러지며 솟아오르는 이야기

  캔버스 조각들이 모여 임시의 형태를 이룬다. 조각들은 마치 지각판처럼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려는 에너지를 머금고 있지만, 지금은 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서로 협조하고 있다. 원래의 형태를 암시하지만 이미 조각난 이상 처음의 모습으로 돌아갈 수는 없으며, 움직이려는 방향을 지시하지만, 어느 조각이 얼마만큼의 힘으로 움직이는지에 따라 다른 모양의 가능성을 품는다. 모르는 사람이 보면 어긋나 보이는 농담처럼, 표면과 그 아래 품은 운동 에너지는 다른 이야기를 내포한다. 그러나 낯선 조각들이 만든 잠정적인 상태, 공간의 빛과 시선의 방향처럼 여러 개의 우연이 씨실과 날실이 되어 하나의 필연으로 조직된다. 농담의 알고리즘이 유효하게 작동하는 현재를 눈으로 확인한다. 

  아무것도 짓지 않고 비워둔 건축물의 보이드(void)가 사실 의도를 채운 공간 이듯, 캔버스가 맞닿아 생겨난 틈은 비어있지만 비어있지 않은 곳이다. 깊은 계곡의 틈으로 떨어지듯 원주를 따라 미끄러지며 작가가 만든 알고리즘 속에서 유영한다. 모두에게 동일한 규칙이 주어지지만 저마다의 감각과 기억이 더해져 날카로운 상상이라는 촉매가 형성된다. 

  작품과 관객이 조우하고 마침내 의미들이 모여 하나가 되는 순간, 빈 공간을 중심으로 힘이 폭발하고 판들이 움직이기 시작한다. 지각변동이다. 눈 앞을 가리는 표면이 밀려나고 감각이 미끄러지며 과거가 융기한다. 선을 타고 흐르는 희열이 온몸으로 옮겨올 때 즈음, 오래전에 멈추었던 누군가의 사적인 농담이 다시 움직인다. 작가가 건네는 알고리즘을 거쳐 현재의 감각으로 재생된다. 이 회화가 ‘푼크툼(punctum)’을 불러오는 지점 이자, 이것이 사진 만의 소유가 아니란 증거다. 같은 작품 속에서 솟아오른 서로 다른 이야기가 관객의 가슴에 유일하게 가라앉는다. 찰나를 포착한 사진처럼 지금이 아니면, 그리고 당신이 아니면 안 되는 순간이다. 

  빈틈없는 알고리즘이 가상 세계에 더 강한 자유도와 생명력을 불어 넣듯이, 작가는 정교한 구조로 관객의 감각을 건드려 각자의 이야기를 발견하고 펼치게 한다. 우리는 모두 하나의 변수다. 작가가 슬며시 그러나 의도적으로 건네는, 지금 여기, 우리 끼리만 아는 농담이다. 결이 복잡한 농담 사이를 노닐며 희열을 느끼고, 여기에 다시 나의 이야기를 더해 또 다른 농담을 건넨다. 돌아온 농담은 엇비슷하게 다르다. 서로 얽힌 규칙을 쌓으며 당신을 이해하고 싶다는 말의 다른 표현이다. 이제 캔버스 조각들은 새로운 세계의 문을 여는 상호텍스트가 된다. 

  암시와 지시 사이, 여러 겹으로 부푸는 공간 사이에 서서 미끄러지며 솟아오르는 이야기를 기다린다. 나의 과거로부터 시작되었으나 이제 현재가 되어 미래로 흐르는 이야기다. 우리 모두 멈춘 농담 하나쯤은 가슴속에 품고 있지 않은가. 





Conditions of Creation, the Air Deliverer’s Juxtaposition of Truth and Fiction (虛實相生)
Hyunjung Ahn (Art Critic, Doctor of Philosophy in Art)

Youngjoo Kim creates “conditions.” By her specific preset of choices in the making, the artist redefines what has been valued as “representations” in traditional fine arts.

Through her exhibition The Weight of the Air (2021), Youngjoo Kim utilizes various physical forms to depict “air,” the weightless and intangible matter. The artist believes that the only capable form to objectify such an unsubstantial state of being is, ironically, “painting,” the most craft-oriented and fundamental medium in visual art. The virtue of a painting is its very hands-on content on the canvas. For it being bare and brutally simple, the medium often makes the artist more preoccupied with “how (its style)” rather than their pure impulses for creation. For that reason, Youngjoo Kim attempts to subtract any exceedingly structuralized means that separate her too far from her initiative impulses. Indeed, the artist refuses to repeat the conventional means of painting. At first, such an endeavor seems to be a manifesto of “Abstraction” in the realm of Modernism. However, for the artist, “creation” holds much more personal and sensual qualities as she finds motifs in the sentiments that have evolved around her life. Her irregular approach brings the artist closer to her sensual gratification.

- On completion of work – When to put an end to representations: the responsibility of an artist

What is the right moment to stop the act of making? Since such a decision defines the work of art, it also establishes the artist’s authority over the outcome. Youngjoo Kim focuses on this “moment of completion” in which the act of filling (adding) and emptying (subtracting) make no difference, meaning, at the right moment of completion, there is no evident borderline between any action. Instead, there is only the outcome of wills. A challenge to the boundary has led the artist to an architectural perspective. As if a finished, massive building occupies a used-to-be empty ground, Youngjoo Kim dismantles the foundations and structures of traditional painting, such as literally breaking and reconstructing the forms of canvas or even reconditioning the space that exhibits the work. Youngjoo Kim’s work ethic is highly related to her consistent and diligent daily pace. The artist believes only the cumulative and discrete study leads to the perception most adequate to contemporary society.

- The representation of de-representation, paintings like architecture with full of interpretations

Paradoxically, the artist believes that she is liberated when excluding traditional representation. “Conception” results from a presentation and a reminder of the image-based world we live in nowadays. A handful of stories are placed in the image-based world. Somehow, it seems evident that Youngjoo Kim questions the fundamental meaning of the painting itself in an environment where the diversity of expression is guaranteed. Realizing the independent value of creation in a flood of images, including digital images, is a challenge and a necessity to secure the “status (or position) of a painter.” The artist said about the representation of de-representation, “If creation is a special act, how different will the images derive from creative activities from the existing images? Aren’t those differences coming from approaches and attitudes instead of superficial elements? I wanted to work on paintings far from digital reproduction and amid the careful consideration of originality.”

The artist’s attempt to redefine the conditions of creation links to how Cezanne once dealt with apples. It is a gentle approach to explore what is behind the representations of “orthodox concepts” in art history than a radical twist by simplifying the interpretation of images. The works by Youngjoo Kim characterize the “paradox” of represented paintings, as well as the “extended possibility of defined representation.” In other words, the endeavor intends to exhibit while preserving their morphological objecthood. They pursue solid shapes and thoughtful spaces while embracing the fundamental aesthetics of paintings about time and space, thereby creating paintings like empty but constructed or filled but deconstructed architecture.

- Contextualizing the weight of air within the limited preset of conditions

Youngjoo Kim entitles her works with universally encompassing “measurement units” such as angle, direction, mass, and weight. These self-contained terms may have a stereotypical impression of her work; however, in the meantime, the terms also hold an objectively reliable understanding and logic of the artist’s works. Indeed, Kim’s nearly lavatory-like refined and limited sets of processes translate the artist’s intuitive and adequate perceptions. Amongst her series, the most vibrantly content and self-defining work is <Weight Painting> (2019- 2021). In the series, the artist puts herself in a condition to use only a certain amount (certain weight) of paint materials. Such disciplinary limitation paradoxically questions the ultimate value of traditional paintings.

Now, we meet Youngjoo Kim’s fourth solo exhibition, The Weight of the Air (2021). It extends the former Weight Painting series and the artist’s pursuit of “creating conditions.” The core of this exhibition is “panting the blank.” It would help if you thought about a means to paint the blank. Paintings are the only means that can visualize the existence or weight of “air,” which is invisible yet certainly present all around.

The works of creating the directions of movements, conditions that give the feeling of architectural drawings, and the relativity of perceiving the blank took shape in <The Catcher> (2021). The work is influenced by the “dreamcatcher,” a tourism product of some natives who had been subject to capital-led colonization, and the artist borrowed the original meaning of perceiving invisible air as a substance and leaving its hope behind. It also corresponds to a social question thrown by people who started to act in fear of invisible air amid the COVID-19 pandemic. For Youngjoo Kim, the air is the language of a real society, and the invisible will create. When frames of the blank are built, the blank is rediscovered. In <Two Stances> (2020-2021), the artist left brush strokes to present the “act of painting” and also her selection of colors to show universal symbolism. In the paintings liberated through standardization, the conditions of image are fixed while the squares acquire freedom in the process of wide variations.

Youngjoo Kim’s creation that throws fundamental questions about art beyond the question of expression is challenging but simple. This is because the question about reproducibility passed down through the history of Western art is linked to today when the artist looks at the world. It goes bey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Eventually, it focuses on the essence of “creation,” thereby moving to the agency of how to realize the equation of “visualization of art = seeing.” The artist concentrates on a simple but fundamental question about the need to pursue an open paradigm by presenting questions surrounding symbols. The conditions of creation suggested by Kim lead to the public nature of artworks, which is expanded from their value as public goods that the artist has built meeting with audiences.

(KR)
창작의 조건, 공기전달자의 허실상생(虛實相生)

안현정 (미술평론가, 예술철학박사)

김영주는 조건을 창작한다. 전통회화가 제시해온 재현(再現)의 의미를 구상(具象)이 아닌 ‘창작의 조건’ 속에서 재해석한다는 뜻이 다. 이른바 공기의 재현, 작가는 비어있는 상태를 대상화 시킬 수 있는 유일한 창작이 ‘페인팅=회화’라고 믿는다. 언뜻 보기에 모더 니즘이 추구해온 추상의 범주에 있는 듯하지만, 작가에게 창작은 살며 자라온 환경 자체를 재현해내는 ‘컨텍스트의 텍스트화(창작 환경의 대상화)’라고 할 수 있다. 원인이 된 것은 창작된 이미지의 역량에 대한 의문이었다. “흰 캔버스에 구체적인 대상을 어떻게 그려야 하는가?”라는 이율배반적 두려움은 결과보다 ‘그리는 과정’ 자체에 주목하게 만들었다. 창작이라는 구획을 새롭게 개념화하 는 ‘규정짓기 놀이’는 이미지의 홍수를 가로지르는 창작방식, 이른바 비움을 통해 채워지는 허실상생의 미감을 창출한 것이다.

멈춤과 책임, 창작자의 권한에 관한 질문들

창작자에게 있는 권한, 그리는 행위를 언제 멈출 것인가? 예술가의 지위 설정과 관계된 이 질문은 이미지를 창작하는 사람으로서의 책임의식과 관계된다. 채우고 비우는 경계가 불분명해지는 순간, 창작자는 모든 행위를 멈추고 창작의 순간을 완결한다. 멈추지 않 는다면 지워져 버리는 것, 비우고 채우는 것은 역설적이게도 동일한 지위를 갖는다. 이미지를 구축하는 경계에의 도전은 공간을 장 악하는 건축적 시각으로 이어졌다. 그려서 만든 이미지의 독립적인 가치, 빈 땅에 건축물이 들어서듯이 캔버스의 시공간을 해체시 켜 재구성하는 것은 창작자의 권한이 아니겠는가. 출퇴근 하듯 노동하는 김영주의 작업들은 사유를 이성화 시키는 건축 작업과 유 사하다. 여기서부터 파생되는 다양성의 실험들, 즐기는 것이 곧 창작 활동이라고 단언하는 자세, 오늘의 이미지 사회를 회의적으로 바라본다는 것, 이 모든 것들은 긍정적 형식에 대한 희망론이자 창작의 동력을 얻고자 하는 의지의 표현이다.

탈(脫)재현의 재현, 읽을거리가 풍성한 건축 같은 회화

작가는 역설적이게도 전통적 재현을 배제했을 때 자유로워진다고 믿는다. 구상은 재현의 의미로 제시된 결과이자 우리가 사는 이미 지 세상에 대한 환기라고 할 수 있다. 이미지 세계에는 여러 이야기가 자리한다. 표현의 다양성이 보장된 환경 속에서 김영주가 회 화 자체에 대한 근본 의미를 질문해보는 것은 어쩌면 자명해 보인다. 디지털이미지까지 포함된 이미지의 홍수 속에서 창작의 독립 된 가치를 구현하는 것은 ‘화가의 지위(혹은 위치)’를 보장받기 위한 도전이자 당위성인 셈이다. 작가는 탈 재현의 재현에 다음과 같 이 말한다. “창작이 특별한 행위라면, 창작 활동을 통해 나온 이미지가 기존의 이미지들과 어떻게 다를 것인가, 피상적인 것이 아니 라 접근방식과 태도에서 나오는 다름이 아닐까, 원본성에 대한 고민들 속에서 디지털 복제와는 거리가 먼 작업들을 해보고 싶었다.” 창작의 조건을 재정의하는 작가의 시도는 흡사 세잔이 사과를 대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이미지에 대한 해석을 단순화시키기보다 미 술사의 ‘정통개념’을 의심하면서 비틀어보는 재현의 배후를 건드리는 것이다. 작품의 미적 표현 자체만 분석하던 재현의 미술로는 도저히 현대미술을 충분히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김영주 작품의 특징은 ‘재현 회화의 역설’인 동시에 ‘규정된 재현의 확장된 가 능성’이다. 말하자면, 형태적인 대상성을 보유하면서도 전시하려는 공간의 유동성과 생동감을 함께 공유하는 것이다. 시간과 공간에 대한 회화의 근본 미학을 수용하면서도 견고한 형태와 깊이 있는 공간을 추구함으로써 비어 있으나 구조적이고, 채워져 있으나 탈 구조적인 건축 같은 회화를 구현하는 것이다.

창작조건의 실현, 공기의 무게를 재현하라

작가는 방향, 무게, 각도 같은 규정된 단위들을 사용하거나, 객관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대상들을 제목에 남겨둠으로써 객관적인 논 리와 언어를 획득한다. 실험실의 과학자 같은 설정 속에서 창작자만이 할 수 있는 직관적이고 타당한 언어를 ‘캔버스 창작놀이’로 실 현하는 것이다. 김영주 작품의 핵심을 보여주는 시리즈는 단연코 <Weight Painting: 무게회화>에 있다. 그린다는 맹목적인 과정을 질량으로만 규정짓는 행위(물감의 무게를 제한)는 전통 회화가 고질적으로 주목해온 재현의 개념을 확장하는 필요충분조건이기 때 문이다.

이제 우리는 김영주의 4회 개인전 <공기의 무게>와 만나게 되었다. 이전의 <무게회화>를 확장한 또 다른 명명(命名)이자, 작가가 오랜만에 순수한 재현의 조건을 모색한 것이다. 핵심은 ‘공백을 그린다는 것’. 공백을 그리기 위해서는 대상을 고민해야 한다. 보이 지 않지만 분명히 존재하는 공기의 실존, 공기의 무게를 시각화할 수 있는 유일한 대상은 회화 뿐이다. 회화를 통하지 않고서는 설 명할 수 없다는 깨달음은 회화로만 담을 수 있는 이야기이자 실체 없음을 실체있음으로 만드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움직임의 방향 을 만드는 작업들, 건축 도면과 같은 느낌의 조건들, 공백을 인식하는 것의 상대성은 <The Catcher: 잡는 구조물>에서 구체화되었 다. 자본적 식민화의 대상이 된 원주민들의 관광상품 ‘Dreamcatcher’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공기를 실체로 인 식하고 그 희망을 남긴다는 본래 의미를 차용한 것이다. 이는 코로나 팬데믹을 겪으면서 보이지 않는 공기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고 행동하기 시작한 사회적 질문 과도 맞아 떨어진다. 김영주에게 공기란 실질적인 사회를 향한 언어이자 보이지 않는 창작의 의지이 다. 공백의 틀을 만들면 공백을 재인식하게 된다. <Two Stances: 둘의 입장>에서는 그린다는 행위를 제시하기 위해 붓 터치를 남기 고, 보편적인 상징성을 보여주기 위해 색감이 선택된다. 규격화 됨으로써 자유로워진 회화들, 그린다는 조건은 고정돼 있고 스퀘어 는 다양하게 바뀌는 과정 속에서 자유를 획득한다. 표현의 문제를 넘어 미술의 근본문제를 던지는 김영주의 작업은 어렵고도 단순 하다. 서양미술사가 이어온 재현성에 대한 질문은 작가가 세상을 보는 오늘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주체와 대상의 관계를 넘어 궁극 적으로는 ‘창작한다’는 본질에 집중함으로써 ‘미술의 시각화=본다는 것’을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라는 행위성으로 까지 옮긴 것이다. 작가는 표상을 둘러싼 근본적인 문제들을 제시함으로써 열린 패러다임을 지향해야 한다는 단순하면서도 근본적인 문제에 집중한 다. 김영주가 제시하는 창작의 조건은 이제 관객과 조우하며 맺어온 공공재로서의 가치에서 확장된 공공성으로 까지 이어진다.


A Condition of the Weight of Air

Seungyoub Lee (Founder of Arch166 & Adjunct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e, Dankook University)

How much is the weight of air? If the weight can be measured, do we feel it, or do we deny it? The artist Youngjoo Kim draws questions upon the dichotomy in the everyday. As an architect and an educator in the architecture department, the works of Youngjoo Kim blur the boundary of which the perceived boundary in our everyday life entails conflicted and disordered conditions caused by a multitude of ideas, practices, and societal and historical values. The boundary may or may not be regarded. Although the realm of boundary is beyond definition by an individual, its narrative can be portrayed based on a careful examination of the boundary. The artist's works embrace the interpretation of perceived boundaries through a distinct form.

The forms created by Youngjoo Kim are infused with familiarity. Still, the artist incorporated the intersection of medium to reproduce the space in which the artist highlights the existence of the 'weight of air' that is overlooked and submerged in our rational mind to reminisce its presence by manifesting it into a volume. The hollow spaces within the geometric form create the variation of length and area in orthogonal composition on the X-axis and Y-axis.

The orthogonal composition creates boundaries and disconnection of the structure, divided inside and outside. The division of space inevitably generates the edge, which extends into a sculpture. Through the artist's works, we perceive the existing form and non-existing vacancy based upon an explicit understanding of the form of boundary. Together, I identify the ambiguity of boundary permeated in the moment of perception. However, through acknowledging the vacancy, the weight of air transcends the physical mass to apply as gravity in our rational mind.

Acknowledging the weight of air implies a change of perspective from constructive perception to a rational concept. The acceleration of gravity from the period of vibration of pendular movement of Newton's Cradle is determined by the kinetic energy created by the length of strings by which the physical weight of the balls is ultimately dismissed in the calculation. Through the works, the acknowledgment derived from the conventional perspective stimulates the change of idea on the importance of air. Its moment of acknowledgment reflects Newton's cradle, of which a ball on one end of the cradle strikes the next ball in the cradle that remains motionless while the ball on the opposite end of the row is thrown into the air. The works of the artist Youngjoo Kim provoke the nature of reason and intuition and break the boundary of perception.


(KR)

공기의 무게의 변

이승엽 (ARCH166 소장, 단국대 건축학과 겸임교수)

공기의 무게란 무엇일까? 만약 존재한다면 우리는 그 무게를 느낄까 아니면 부정 해 버릴까? 이렇듯 김영주 작가는 일상의 표리(表 裏)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건축을 전공하고 가르치는 본인에게 김영주 작가의 작업은 언제나 경계의 가장자리를 뒤흔든다. 우리가 일상에서 인식하는 경계는 무수한 관념, 습관, 사회적, 시대적 가치관에 따라 부딛히고, 서로 마찰하며, 흐트러진 상태로 존재한다. 경계는 인지될 수도 안 될 수도 있다. 경계의 영역이라는 것이 개인이 정의하거나 정리할 수 있는 대상은 아니다. 다만, 그 곳을 들 여다보고 경계의 존재를 이야기해주는 이는 있을 것이다. 김영주 작가의 작업은 어느 순간 그 경계의 자리를 인지하고 해석하여 그 것을 형태화 해 준다.

김영주 작가가 만들어내는 그 형태의 존재는 친숙한 형태를 띄지만 직조의 형식을 이용해 작가의 사유로 재 창조된 그 속의 공간 은 작가가 이야기하려는 ‘공기의 무게’ 즉 존재하나 인지가 무시되고 우리의 이성의 그림자 뒤로 간과되어진 것을 질량(質量)화 하 여 그 존재를 다시 인지하고 느끼게 해 준다. 작가가 직조하여 만들어내는 공간의 빈자리는 X, Y좌표 에서의 직교(直交)의 구성에서 그것의 길이와 간격의 변화로 인해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직교의 형식은 공간에 경계를 만들고 단절을 창조해 낸다. 안과 밖이라는 단절의 구조를 만들어 내고, 안과 밖이 존재함으로써 필 연적으로 생기는 경계는 곧 조형적 형태로 드러나는 것이다. 작가의 작업에 대한 우리의 시선은 경계의 형상을 분명히 인지하여 형 태(있음)와 빈자리(없음)를 동시에 바라보게 한다. 이 순간 나는 경계의 모호성을 발견한다. 하지만 한걸음 더 나아가 그 빈자리를 인 지하는 과정을 통해 공기의 무게는 물리적 질량에서 벗어나 우리의 이성(理性)에 중력으로 자리 잡게 된다.

공기의 무게를 인지한다는 것은 곧 구성적 논리로만 보이던 세계관이 조금 더 이성적인 관념의 세계관으로 차원 이동을 하는 것이 다. 뉴턴의 병렬로 연결된 추의 진자운동의 진동주기에서 중력가속도는 곧 그것을 매달은 줄의 길이로 인한 움직임의 에너지로 부 터 발현 되며 그 순간 추의 물리적 무게는 간과 된다. 익숙한 시선으로 부터의 인지가 김영주 작가의 작업을 통해 공기의 무게라는 개념의 전환을 만들어 낸다면 그 인지의 순간은 진자운동의 첫번째 추 처럼 움직이지 않는 추를 때리지만 가장 먼 마지막의 추를 멀어지게 하는 순간과 닮아 있다. 사유와 직관의 본질을 뒤흔드는 김영주 작가의 작업은 언제나 인지의 경계를 무너트린다.


Re-endowing the Common through Resisting the Common - Youngjoo Kim's solo exhibition '( )' for resistance to the era of excessive art and artistic images

Sangsoo Yook (Art Critic)

The artist presents the planarity of color and form that seems almost absent-minded, stating: "Canvas is not a subject for reenacting something or creating a new image through instructions or projection. The creator's inertial works of calling may appear obvious, but in modern society, it is like the mythology that has lost its power." Whatever it is that holes long durability, 'it' by itself holds convention and inertia. With a resisting attitude, the artist questions the listless and repetitive habits and gives the 'planar' place value to the deeds and results of the pre-existing, endowing a new understanding and novelty to the original state.

Through creating an experimental frame, this exhibition breaks from the conventional conditions surrounding images and painting on canvas, which is the icon of tradition, and delivers the independence and expressive perception of the creator in the era of excessive images.

(KR)

기존성에 항거해 기존성을 재부여하다 - 예술 혹은 예술적 이미지 과잉 시대를 항거를 위한 김영주 작가의 개인전‘( )’

육상수(미술평론가)

작가는“나에게 캔버스는 무엇을 재현하거나 지시 혹 은 투영을 통한 새로운 이미지를 만드는 대상이 아니 다. 소명과도 같은 창작자의 관성적 작업이 얼핏 당연 해 보일 수도 있겠지만 이미 현대 사회에서는 동력을 잃은 신화 같다.”라고 말하면서 무심한 듯한 색과 형 태의 평면성을 선보인다.

오랜 지속성을 가진 그 무엇이든, 자체(自體)로서의 관습과 관성을 가진다. 작가는 이런 나른한 반복적 습 관에 대해 의문과 반발적 의도를 가지고 기성의 행위 와 결과에 ‘평면적’ 위치 값을 매김으로써 원형의 재 인식과 동시에 새로움을 부여했다.

이번 전시는 전통의 아이콘인 캔버스에 이미지와 회 화를 둘러싼 관례적 조건을 탈피하는 실험적 화면을 만듦으로 이미지 과잉의 시대에 창작자의 독립성과 인식의 환기를 전해준다.